본문 바로가기
정보성

노트북 프린트스크린 안될때 키 활성화

by 튀비 2016. 11. 5.

노트북에서 프린트스크린 키가 안될 때 활성화를 해주는 방법



모니터에 띄워진 화면을 이미지로 기록하고 싶을 땐 캡처를 해주어야 하고 이때 가장 많이 활용하게 되는 키가 바로 Prt Sc죠? 그런데 노트북에서 해당 키를 눌러도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이럴 땐 간단한 내용만 알아두면 언제든지 노트북 프린트스크린이 작동하도록 만들 수 있죠.



깔끔하게 핵심부터 얘기를 하자면 프린트 스크린 안될때 알아두어야 할 것은 펑션 버튼을 함께 눌러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키보드에서 [Fn + Prt Sc]를 눌러주면 정상적으로 프린터 스크린이 작동을 한다는 것이죠. 다만 제대로 활용을 하려면 조금 더 많은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노트북의 프린트 스크린 키를 보다 알차게 쓰는 방법



앞서 버튼이 안될 때 활성화로 바꾸는 방법은 간단하게 언급을 했습니다. 그런데 키의 기능이 작동하도록 펑션 키를 같이 누른다고 해도 여전히 그림판이나 포토샵에 붙이기를 해주고 따로 저장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죠.




그래서 저는 캡처를 할 땐 윈도우의 자체 기능을 활용할 것이 아니라 전용 도구를 준비할 것을 권장합니다. 제일 간단하게 쓸 수 있는 툴은 칼무리인데 상단에 제가 올린 파일을 받거나 공식 홈페이지(http://kalmuri.kilho.net/)에서 실행 파일을 받으면 설치하지 않고 바로 쓸 수 있습니다.





실행한 다음엔 키보드의 프린트스크린을 누르면 바로 노트북의 전체 화면이 저장됩니다. 경로는 실행 파일이 있던 곳과 동일하며 따로 붙이기를 하거나 저장하는 과정이 생략되니 엄청 간단하죠.





그리고 노트북의 화면에 띄워진 전체적인 부분은 캡처하는 것이 아니라 영역을 미리 지정할 수도 있으며 저장되는 이미지 파일의 포맷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의 공백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을 바꿔줄 수도 있죠.





여담으로 노트북에 툴을 준비하지 않고 스샷을 할 때 전체 화면을 바로 저장하는 방법도 있는데 [윈도우 키 + Prt Sc]를 누르면 됩니다. 그럼 그림판이나 기타 편집 프로그램을 쓰지 않아도 전체 화면이 바로 jpg의 형태로 [내 PC > 사진 > 스크린샷]에 기록되죠.


지금까지 노트북의 프린트스크린 키가 안될 때 활성화를 해주는 방법과 간단하게 쓸 수 있는 캡처 프로그램을 소개해봤는데 팁 정보에 불과했지만 그래도 도움이 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물러나겠습니다.

댓글